자동제어

RS232C - #2

ad-will 2025. 3. 31. 21:41

1. 기본 개념

직렬 통신의 장점: RS-232C는 데이터 전송을 직렬 방식으로 처리하므로, 비교적 적은 선으로 통신이 가능합니다. 이는 복잡한 배선이 필요 없는 간단한 시스템 설계를 가능하게 합니다.
전압 기준: RS-232는 +3V에서 +25V 사이의 전압을 '0'으로, -3V에서 -25V 사이의 전압을 '1'로 정의합니다. 이는 장치 간의 전기적 신호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게 합니다.

 

2. 커넥터

  DB-25: 25개의 핀을 가진 커넥터로, 다양한 신호를 지원합니다. 주로 더 많은 핀을 필요로 하는 장치에서 사용됩니다.
  DB-9: 9개의 핀을 가진 소형 커넥터로, 많은 현대 장치에서 사용됩니다. 이 커넥터는 공간 절약과 간편한 연결을 제공합니다.

 

3. 핀 배치

DB-9의 주요 핀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DB-9 핀 배치
1: CD (Carrier Detected)
2: RXD (Receive Data) 
3: TXD (Transmit Data)
4: DTR (Data Terminal Ready)
5: GND (Signal Ground)
6: DSR (Data Set Ready)
7: RTS (Request to Send)
8: CTS (Clear to Send)
9: RI (Ring Indicator)

RS232C 결선

RXD, TXD, GND 3개의 결선만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합니다.

이와 같이 결선하는 것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식입니다. 

 

4. 전송 속도

Baud Rate: RS-232C는 다양한 보율을 지원합니다. 일반적으로 300 bps, 1200 bps, 9600 bps, 115200 bps 등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Baud Rate 이 높을수록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빨라지지만, 거리 제한이 있습니다.

 

5. 데이터 포맷

프레임 구조: RS-232C의 데이터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스타트 비트: 데이터 전송의 시작을 알리는 비트로, 일반적으로 1비트입니다.
데이터 비트: 실제 전송되는 데이터로, 5비트에서 8비트까지 설정 가능합니다.
패리티 비트: 선택적 오류 검출 비트로, 짝수 패리티 또는 홀수 패리티 방식이 있습니다.
스톱 비트: 데이터 전송의 끝을 알리는 비트로, 1비트 또는 2비트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6. 오류 검출

패리티 비트: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비트로, 송신 측에서 생성되고 수신 측에서 확인됩니다. 짝수 패리티는 비트 '1'의 개수가 짝수가 되도록, 홀수 패리티는 홀수가 되도록 설정합니다.

 

7. 거리 및 제한

거리: RS-232C는 최대 15미터(50피트)까지 안정적인 통신을 지원합니다. 하지만 높은 보율을 사용할 경우 거리 제한이 더 짧아질 수 있습니다.
전송 품질: 전송 거리가 길어질수록 신호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신호 증폭기나 리피터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8. 응용 분야

RS-232C는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모뎀: 전화선 기반의 데이터 통신 장비.
프린터: 직렬 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인쇄 장치.
산업용 장비: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같은 자동화 장치에서의 통신.
임베디드 시스템: 마이크로컨트롤러와의 데이터 통신에 사용.

 

9. 현대의 대체 기술

RS-232C는 최근 USB, Bluetooth, Ethernet 등과 같은 더 빠르고 효율적인 통신 방식에 의해 점차 대체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산업 및 레거시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10. 결론

RS-232C는 직렬 통신의 기초를 제공하는 중요한 프로토콜로,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비록 최신 기술들이 등장하며 사용 빈도가 줄어들고 있지만, RS-232C의 단순성과 저렴한 비용 덕분에 특정 환경에서는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RS-232C는 산업 전반에서 그 유용성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