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제어

질량유량제어기 - MFC(Mass Flow Controller)

ad-will 2025. 5. 12. 22:07

1. MFC란 무엇인가?

MFC(Mass Flow Controller)는 ‘질량 유량 제어기’로 번역되며, 특정 가스의 흐름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반도체 장비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화학, 바이오, 에너지 산업에서도 폭넓게 사용됩니다. 특히 반도체에서는 수십 종의 가스를 나노 단위까지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MFC의 정확도와 반응 속도는 공정 품질에 직결됩니다.

 

2. 반도체 공정에서 MFC의 역할

반도체 공정은 다양한 가스를 이용해 증착(CVD), 식각(Etch), 세정, 도핑 등 고도의 화학 반응을 유도합니다. 이때 가스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면, 웨이퍼의 두께 불균일, 식각 손상, 수율 저하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MFC는 이러한 공정 내 가스 흐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설정값에 맞게 조절함으로써 공정의 일관성을 보장합니다.

 

3. MFC의 기본 구조와 구성요소

MFC(Mass Flow Controller)

 

MFC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집니다.

구성 요소설명
본체(Body) 가스가 흐르는 경로. SUS316 등 내식성 강재 사용
유량 센서(Sensor) 대부분 열식 센서. 온도차로 유량 감지
제어 밸브(Control Valve) 센서 신호에 따라 유량 조절 (솔레노이드 또는 피에조 방식)
전자제어부(MCU) 내부 PID 제어 수행, 통신 및 상태 출력
입출력포트 (I/O) Analog (0~5V), Digital (RS485, DeviceNet, EhterCAT 등) 방식 통신

 

4. MFC의 오차 요인 및 보정 방식

MFC는 매우 정밀한 장치지만,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과 보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차  원인설명 보정 방법
온도 변화 온도에 따라 센서 감도 변화 자동 온도 보정 알고리즘 탑재
가스 종류 질량/열전도도 차이 가스별 Calibration Table 적용
압력 변화 Inlet/Outlet 압력 불안정 시 유량 변동 Back Pressure Regulator 설치
오염 및 잔류 센서 또는 밸브 내 오염물 누적 정기적 Purge 및 Cleaning 수행
 

 

5. MFC의 종류 및 특성

MFC는 사용 환경, 제어 방식,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됩니다. 

 

분류 기준 종류 특징
제어 신호 방식 Analog / Digital Analog: 간단, Digital: 정밀, 다채널
센서 방식 열식 / 코리올리 / 초음파식 열식이 주류, 액체는 코리올리
가스 범용성 단일 가스 / 멀티 가스 Multi-Gas 모델은 Field 변경 가능
유량 범위 Low / Medium / High Flow 0.1 ~ 50,000 sccm까지 대응
내식성 여부 일반형 / 고내식형 HF 등 강한 가스에 대비한 특수 재질 사용
 

 

6. MFC와 관련된 기타 장비와의 연동

MFC는 단독으로 작동하지 않고, 주변 구성요소와 연동하여 사용됩니다.

  • Upstream Valve (UV):  가스 유입을 제어하기 위해 MFC 입력단에 위치한 밸브
  • Downstream Valve (DV): MFC 후단에 설치된 출력 밸브
  • Purge Valve (PV): 공정 종료 후 라인을 N2 또는 불활성 가스로 잔류 가스를 제거하는 밸브
  • Pressure Sensor: 라인의 압력을 실시간 감지하여 MFC와 연계 제어
  • Gas Box / Panel: MFC와 밸브, 필터 등이 모듈화된 패널 구조
MFC & Gas Valves
 

7. 실제 반도체 공정 예: CVD에서의 MFC 적용

CVD 공정에서는 전구체 가스(예: SiH₄), 반응 가스(예: NH₃), 캐리어 가스(N₂)를 각각의 MFC로 정밀하게 제어합니다. 예를 들어:

  1. SiH₄ MFC: 200 sccm
  2. NH₃ MFC: 500 sccm
  3. N₂ MFC: 1000 sccm

이처럼 복수의 MFC가 동시에 작동하면서 각 가스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어 공정 챔버에 공급됩니다. 하나라도 유량이 정확하지 않으면, 막 형성이 불균일해져 수율 저하 및 불량 증가로 이어집니다.

 
 

8. MFC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요소

MFC를 선택할 때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 정격 유량(Rated Flow): 공정 가스에 맞는 유량 범위
  • 가스 호환성: 사용 가스에 대한 재질 내성 여부
  • 정확도(Accuracy): ±1% 이하일수록 고급
  • 응답 속도(Response Time): 수 ms 단위의 반응속도
  • 통신 방식: 공정 장비와 호환되는 인터페이스
  • 온도·압력 조건: 공정 환경에 맞는 스펙

9. 최신 기술 동향 및 스마트 MFC

최근 MFC는 단순 제어를 넘어 스마트 센서와 통신 기능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 Self Diagnostics: 내부 센서 이상 자동 감지
  • Big Data 통신: 유량, 온도, 압력 로그 저장 → 예지보전
  • 클라우드 연동: 원격 모니터링 및 컨디션 기반 유지보수
  • Auto-Gas Switching: 멀티가스 입력 자동 전환 기능

특히 ALD나 EUV 공정처럼 극도로 정밀한 조건을 요구하는 환경에선, 이러한 스마트 기능이 수율과 직결됩니다.

  •  

'자동제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rottle Valve Pressure Controller  (0) 2025.05.11
반도체 진공챔버의 Pumping & Venting 시퀀스  (0) 2025.05.08
반도체 공정 별 진공 시스템  (0) 2025.04.22
진공 (Vacuum)  (0) 2025.04.18
센서 - 진공(압력) 센서  (0)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