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0 4

RS232C - #1

RS232C 통신 프로토콜: 기본 개념과 활용 서론RS232C는 직렬 통신 프로토콜로, 컴퓨터와 주변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합니다. 1960년대에 처음 개발된 이 프로토콜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본 블로그에서는 RS232C의 기본 원리, 전기적 특성, 장단점, 그리고 실제 활용 사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RS232C의 기본 개념1. 직렬 통신 방식RS232C는 데이터를 한 비트씩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직렬 통신 방식입니다. 이는 병렬 통신과는 달리, 한 번에 여러 비트를 전송하지 않고,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흐르는 방식입니다. 직렬 통신은 긴 거리에서의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며, 케이블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전기적 신호RS232..

자동제어 2025.03.30

RS-232C, RS-485, RS-422

RS-232C, RS-485, RS-422: 통신 표준의 이해와 차이점 1. 서론현대의 전자기기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양한 통신 표준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RS-232C, RS-485, RS-422는 산업 및 상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표준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이 세 가지 통신 표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각 표준의 특징과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 2. RS-232C개요RS-232C는 1960년대에 개발된 직렬 통신 표준으로, 주로 컴퓨터와 주변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됩니다. 이 표준은 25핀 또는 9핀 D-sub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며, 최대 15미터의 거리에서 20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특징● 단방향 통신: RS-2..

자동제어 2025.03.30

EtherCAT

EtherCAT : 고속 필드버스 통신의 혁신 1. EtherCAT의 개요EtherCAT(Ethernet for Control Automation Technology)은 산업 자동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고속 필드버스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이 기술은 2003년 EtherCAT 기술 그룹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주로 실시간 제어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EtherCAT은 Ethernet 기반의 기술로, 고속 데이터 전송과 낮은 지연 시간,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특징으로 합니다.   2. EtherCAT의 작동 원리EtherCAT의 핵심은 '슬레이브'와 '마스터' 구조입니다. 마스터는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슬레이브는 다양한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포함합니다. EtherCAT은 이더넷 프레임을 ..

자동제어 2025.03.30

DeviceNet

DeviceNet: 산업 자동화의 핵심 프로토콜 1. 개요DeviceNet은 산업 자동화와 제어 시스템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특히 제조업체의 다양한 장비 및 센서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 프로토콜은 주로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CAN)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높은 신뢰성과 실시간 통신을 제공합니다. DeviceNet은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과 장치 상호 연결을 통해 산업 현장에서의 자동화 솔루션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DeviceNet의 구조, 기능, 장점, 응용 분야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 DeviceNet의 구조와 기능DeviceNet은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장치들이 효율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

자동제어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