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2

모터 엔코더

엔코더의 기본 개념모터에서 엔코더는 회전 운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모터의 위치, 속도 및 방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엔코더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각각의 동작 원리와 특징이 다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증분형(Incremental) 엔코더와 절대형(Absolute) 엔코더의 동작 원리와 차이점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증분형(Incremental) 엔코더1.1 동작 원리증분형 엔코더는 회전하는 샤프트에 부착된 광학 디스크나 자석을 이용하여 회전 각도의 변화를 감지합니다. 엔코더 내부에는 두 개의 광 센서(A, B)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센서들은 디스크에 있는 슬릿이나 자석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합니다. ● 슬릿 방식: 디스크에 여러 개의 슬릿이 있으며, 샤프트가 회..

자동제어 2025.04.03

모터 가감속 프로파일

모터 가감속 프로파일: 사다리꼴 프로파일과 S-형 프로파일의 이해모터 제어 시스템에서 가감속 프로파일은 모터의 성능과 효율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사다리꼴 프로파일(Trapezoid Curve)과 S-형 프로파일(Sigmoid Curve)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가감속 프로파일로,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이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이 두 프로파일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1. 가감속 프로파일의 중요성모터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성능은 가감속 프로파일에 크게 의존합니다. 가감속 프로파일은 모터가 정지 상태에서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고, 다시 정지 상태로 돌아가는 과정을 정의합니다. 이 과정에서 모터의 가속도와 감속도는 기계적 스트레스, 에너지 소비, 소음 및 ..

자동제어 2025.04.02

스탭모터(Stepping Motor)

스탭모터(Stepping Motor): 구조, 특성, 장단점스탭모터는 전기 모터의 한 종류로, 정밀한 위치 제어가 필요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스탭모터의 구조, 특성, 장단점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스탭모터의 구조스탭모터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1. 스테이터(고정자)스테이터는 스탭모터의 외부 구조로, 전자기 코일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이 코일은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을 생성하여 로터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스테이터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극을 가지고 있으며, 각 극은 특정한 순서로 전류가 공급됩니다. 1.2. 로터(회전자)로터는 스탭모터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자석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로터는 ..

자동제어 2025.04.01

서보모터(Servo Motor)

서보모터(Servo Motor): 구조, 특성, 장단점서보모터는 현대 자동화 및 로봇 기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기 모터의 한 종류입니다. 이 글에서는 서보모터의 구조, 특성, 장단점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서보모터의 구조서보모터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1. 모터서보모터의 핵심은 모터입니다. 대부분의 서보모터는 AC모터 또는 브러시리스 DC모터를 기반으로 하며, 이들은 높은 효율성과 정밀한 제어가 가능합니다. 1.2. 감지기서보모터는 위치, 속도, 가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감지기를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엔코더(Encoder)나 포텐셔미터(Potentiometer)가 사용되며, 이들은 모터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여 제어 시스템에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자동제어 2025.04.01

서보모터 vs 스탭모터

서보모터와 스탭모터의 차이점모터는 현대 자동화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종류의 모터가 존재합니다. 그 중에서도 서보모터와 스탭모터는 특히 로봇 공학, CNC 기계, 자동화 장비 등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이 두 모터는 각각의 특성과 용도에 따라 다르게 설계되었으며, 이로 인해 특정 응용 분야에서 더 적합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서보모터와 스탭모터의 기본 개념, 작동 원리, 장단점, 그리고 주요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서보모터란?서보모터는 위치, 속도, 토크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모터입니다. 일반적으로 피드백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어, 모터의 현재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조정합니다. 서보모터는 주로 DC 모터, AC..

자동제어 2025.04.01

Ethernet - TCP vs UDP

TCP와 UDP의 차이점: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이해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두 가지 주요 프로토콜인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각각의 특성과 용도에 따라 다르게 사용됩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TCP와 UDP의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각 프로토콜의 장단점과 사용 사례를 분석하겠습니다. 1. 기본 개념1.1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TCP는 연결 지향적인 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기 전에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연결을 설정합니다. 이 연결은 "3-way handshake"라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연결을 종료하는 "4-way han..

자동제어 2025.03.31

Ethernet - TCP Socket 통신

TCP Socket 통신에 대한 이해1. TCP Socket 통신이란?TCP Socket 통신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중 하나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소켓(Socket)이라는 개념을 결합한 것입니다. TCP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프로토콜이며, 소켓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엔드포인트를 제공합니다. 이 조합을 통해 두 개의 컴퓨터 간에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집니다. 2. TCP의 특징TCP는 여러 가지 중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2.1 신뢰성TCP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손상될 경우, TCP는 이를 감지하고 재전송을 요청합니다. 이를 통해 수신자는 송신자가 보낸 데..

자동제어 2025.03.31

RS232C - #2

1. 기본 개념직렬 통신의 장점: RS-232C는 데이터 전송을 직렬 방식으로 처리하므로, 비교적 적은 선으로 통신이 가능합니다. 이는 복잡한 배선이 필요 없는 간단한 시스템 설계를 가능하게 합니다.전압 기준: RS-232는 +3V에서 +25V 사이의 전압을 '0'으로, -3V에서 -25V 사이의 전압을 '1'로 정의합니다. 이는 장치 간의 전기적 신호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게 합니다. 2. 커넥터●  DB-25: 25개의 핀을 가진 커넥터로, 다양한 신호를 지원합니다. 주로 더 많은 핀을 필요로 하는 장치에서 사용됩니다. ●  DB-9: 9개의 핀을 가진 소형 커넥터로, 많은 현대 장치에서 사용됩니다. 이 커넥터는 공간 절약과 간편한 연결을 제공합니다. 3. 핀 배치DB-9의 주요 핀 기능은 다음과 같..

자동제어 2025.03.31

RS232C - #1

RS232C 통신 프로토콜: 기본 개념과 활용 서론RS232C는 직렬 통신 프로토콜로, 컴퓨터와 주변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합니다. 1960년대에 처음 개발된 이 프로토콜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본 블로그에서는 RS232C의 기본 원리, 전기적 특성, 장단점, 그리고 실제 활용 사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RS232C의 기본 개념1. 직렬 통신 방식RS232C는 데이터를 한 비트씩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직렬 통신 방식입니다. 이는 병렬 통신과는 달리, 한 번에 여러 비트를 전송하지 않고,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흐르는 방식입니다. 직렬 통신은 긴 거리에서의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며, 케이블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전기적 신호RS232..

자동제어 2025.03.30

RS-232C, RS-485, RS-422

RS-232C, RS-485, RS-422: 통신 표준의 이해와 차이점 1. 서론현대의 전자기기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양한 통신 표준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RS-232C, RS-485, RS-422는 산업 및 상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표준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이 세 가지 통신 표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각 표준의 특징과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 2. RS-232C개요RS-232C는 1960년대에 개발된 직렬 통신 표준으로, 주로 컴퓨터와 주변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됩니다. 이 표준은 25핀 또는 9핀 D-sub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며, 최대 15미터의 거리에서 20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특징● 단방향 통신: RS-2..

자동제어 2025.03.30